분류 전체보기

    답장 지옥에 빠진, 카카오톡 [코드스테이츠 PMB 10기]

    답장 지옥에 빠진, 카카오톡 [코드스테이츠 PMB 10기]

    들어가기에 앞서 중 3 때 갤럭시 s2를 구매하면서 카카오톡에 입문했습니다. 처음 사용했을 때 친구들과 답장하는 재미에 종종 늦게 자곤 했습니다. 고등학교에 입학한 후 조례 시간 제출한 핸드폰을 다시 받고 제일 먼저 한 행동은 카카오톡 메시지가 왔는지 확인하는 거였습니다. (요즘 애들은 핸드폰 안 걷는다면서요? 후.. 라떼 마렵) 하지만 지금은 카카오톡 답장 지옥에 빠져버렸습니다. 더이상 카카오톡이 신기하지도 않고, 오히려 개인 시간을 뺏고 있습니다. 오늘도 빨간 배지를 무시할 수 없어서, 너무 귀찮지만 답장을 하러 대화방에 빠져버렸네요. 오늘은 유저들이 카카오톡을 통해 메시지를 주고받는 과정을 플로우차트로 정리한 후 뇌피셜로 그 과정 속 발생하는 개발을 추측(도 아니고 거의 찍기 수준)하려고 합니다. ..

    4편. 인프런(Inflearn) - 성장 전략

    4편. 인프런(Inflearn) - 성장 전략

    해당 글은 시리즈로 작성되는 글입니다. 전 편을 읽지 않으셨다면 읽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1편: 인프런 프로덕트 분석 및 UX 리서치 2편: 인프런 MVP 3편: 인프런 UX 개선/개발 들어가기에 앞서 지난 3편 동안 프로덕트 분석 및 UX 리서치, MVP, UX 개선/개발까지 완료했다. 이번 분석글은 그동안 기획한 MVP를 통해 '도대체 어떻게 인프런을 성장시킬 것인가?'를 다룰 것이다. 아무래도 회사 관계자가 아니기에 어느 정도 추측을 통해서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인프런은 Growth Point를 찾았을까? 일단 해당 질문은 인프런의 성장 전략을 분석한 뒤 답을 내릴 것이다. 그렇다면, 인프런이 성장 지점을 찾기 위해 어떤 전략을 채택했는지 알아보자. 전략 1. 지식공유자에게 돈이 더 돌아..

    링글의 랜딩페이지 개선하기 [코드스테이츠 PMB 10기]

    링글의 랜딩페이지 개선하기 [코드스테이츠 PMB 10기]

    들어가기에 앞서 저번 글에 링글의 랜딩페이지 중 아쉬운 부분을 꼽아보았습니다. 오늘은 아쉬웠던 부분들의 우선순위를 설정해, 최소한의 공수로 최대의 결과를 가져오는 2가지 개선안을 A/B테스트로 설정해 보록 하겠습니다. 개선되어야 할 부분 단계 아쉬운 이유 상단 이벤트 배너 프라이싱 전략임에도 불구하고 가독성이 좋지 않음 1단계. 메인 슬로건 배너 전환을 유도하고 장치가 없음 2단계. 튜터 소개 영상 튜터에 '수'에만 집중, 영상을 보기 위해서는 1뎁스 안으로 들어가야 함 4단계. 교재 소개 마이크로 카피와 제공하는 제공가 불일치 5단계. 영어 웨비나 전문 용어를 사용해 사용자 친화적인 마이크로 카피가 아님 8단계. 후기 텍스트 가로로 긴 텍스트 박스를 사용해 한 눈에 들어오지 않음, 낭비되는 여백이 많음..

    명문대 과외쌤과 화상영어, 링글 [코드스테이츠 PMB 10기]

    명문대 과외쌤과 화상영어, 링글 [코드스테이츠 PMB 10기]

    들어가기에 앞서 전 직장에서 랜딩 페이지를 기획한 경험이 있습니다. 당시 아무것도 모르는 시절에 뭐라도 만들어보자 라는 마음으로 시장에 있던 경쟁사들의 랜딩페이지를 분석했습니다. 마침 좋은 기회로 마케팅 컨설팅을 받을 수 있었는데, 컨설팅을 해주시던 대표님께서 랜딩페이지에 꼭 들어가야 할 요소들을 가르쳐 주셨습니다. 해당 요소들을 듣고 나니, 주먹구구식으로 기획하면 안 된다는 것, 그리고 A/B 테스트의 필요성을 느꼈습니다. 결국 퇴사하게 되면서 랜딩페이지의 A/B 테스트를 진행하지 못해서 아쉬웠는데, 이번 과제로 설계해보려고 합니다. 오늘은 아이비리그 출신 원어민 튜터와 함께하는 1:1 화상영어 링글의 랜딩페이지를 분석하고자 합니다. 링글의 랜딩페이지 네이버에 링글을 검색하면 다음과 같은 랜딩페이지에 ..

    3편. 인프런(Inflearn) - UX개선/개발

    3편. 인프런(Inflearn) - UX개선/개발

    해당 글을 시리즈로 작성되는 글입니다. 전 편을 읽지 않으셨다면 읽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1편: 인프런 (Inflearn) - 프로덕트 분석 및 UX리서치 2편: 인프런(Inflearn) - MVP 들어가기에 앞서 2편에서 스터디 관리 서비스를 MVP로 설정했다. 그럼 이 MVP의 백로그, 정보 구조도, 화면 디자인, 스토리보드를 설계하자. 여기서 들어가기 전에 한 가지 디테일을 추가할 것이다. 스터디 관리 서비스는 인프런의 웹 버전에서만 제공하는 베타 서비스로 운영될 것이다. 이는 개발되어야 할 리소스가 많으니, 고객에게 검증이 된 후 고도화와 확장을 진행하기 위함이다. 백로그 정보 구조도 백로그에서 작성된 기능은 빨간색으로 표시된 계층에서 이루어질 작업이다. (해당 이미지는 메뉴트리입니다. 추후..

    마케팅 대박, 인프런 [코드스테이츠 PMB 10기]

    마케팅 대박, 인프런 [코드스테이츠 PMB 10기]

    들어가기에 앞서 오늘 그로스 해킹에 대해 배우면서, 최근에 파격적인 프로모션을 통해 성공적으로 신규 고객 유입을 성공한 인프런이 생각났다. 마침 위클리 과제로도 선정한 프로덕트니, 오늘 분석글에 심층적으로 알아보면 좋을 것 같다. 그래서 오늘의 주제는 인프런의 그로스 마케팅 전략이다. 그로스 해킹 그로스 해킹의 핵심은 '그로스(growth)'이다. 그로스 해킹은 고객의 취향을 파악하고, 더 효과적으로 고객에게 접근해 저비용으로 최고의 광고 효용을 추구하는 마케팅 기법이다. 즉, 고객의 데이터를 추적해 문제를 발견하고 가설을 수립해 제품을 개선한 뒤 가설을 검증하는 순환 고리를 사용한다. 기존 마케팅은 '감'에 의존했다면 그로스 해킹은 데이터를 활용해 정확한 지표로 성과기반의 퍼포먼스 마케팅을 선보인다. ..

    카카오 삥 뜯기, 카카오페이 정산하기 [코드스테이츠  PMB 10기]

    카카오 삥 뜯기, 카카오페이 정산하기 [코드스테이츠 PMB 10기]

    들어가기에 앞서, 어렸을 때부터 수학이 정말 싫었다. 특히, 가장 기초였던 나누기가 징글징글하게도 싫었다. 시간이 지나고 대학생이 된 후 소비액이 커지면서 한 번에 결제한 후 돈을 돌려받는 일이 많아졌다. 매번 계산하기가 너무 싫어서 수학과 관련된 전공을 하는 친구에게 항상 부탁했다. 하지만 이젠 그러지 않는다. 카카오톡 정산하기 기능이 생긴 이후론, 자동으로 균등하게 혹은 내가 원하는 만큼 돈을 요청할 수 있다. 더불어..! 카카오 삥 뜯기가 가능하다. 공통하게 나눠지지 않은 홀수의 일의 자리 금액은 카카오가 '쿨'하게 보태준다. 그래서 난 항상 정산 금액 + (만난 사람 수 -1)의 금액을 적는다. 만약 한 번도 사용해보지 않았다면 꼭 해보길 바란다. 오늘은 나처럼 편하게 정산을 하고 싶은 사람에게 ..

    내 맘대로 UX/UI 바꿔보기, Grammarly [코드스테이츠 PMB 10기]

    내 맘대로 UX/UI 바꿔보기, Grammarly [코드스테이츠 PMB 10기]

    들어가기에 앞서 지난주 grammarly의 UX 중 개선해야 하는 불편한 경로를 찾아봤습니다. 정말 신기하게도 오늘 과제를 미리 확인하지 않았는데 딱 하나를 제외하고 이미 개선안을 lo-fi 하게 만들었습니다. 마침 그 하나를 최우선 순위로 설정하기도 했고, 오늘 과제가 페이퍼 프로토타입을 제작하는 것이니, 친절하지 않은 microcopy의 개선사항을 페이퍼 프로토타입으로 만들고자 합니다. 참고: 원어민처럼 글쓰기, Grammarly 프로토타입이란? "프로토타이핑은 소통의 도구이다" 프로토타이핑은 프로덕트팀의 이해관계자들이 서로 소통하기 위해 사용되며, UI가 최종적으로 디자인되고 개발되기 전 프로덕트와 고객 상호작용을 관찰하기 위한 사용성 테스트로 사용됩니다. 여기서 프로토타입은 아이디어를 검증하는 M..